본문 바로가기
자본수입

파킹통장 가입 장단점 알아보기(정말 이율이 높나요?)

by □ □ □ □ □ 2022. 5. 25.

안녕하세요. 연일 주가는 하락하고 물가는 끝을 모르고 치솟고 있는 때입니다. 원화 채굴이라는 말 들어보셨나요? 여기저기 투자할 때가 아닌 현금 확보가 최고인 때라는 뜻인데요. 확보한 현금을 그럼 어디에 넣어두면 좋을지 한번 알아보기로 합시다. 

 

■ 예·적금 가입 

  • 최근 일반 예금 가입 시 이율은 연 0.1%대 입니다. 아주 옛날이라 해도 고금리 인적은 없었습니다. 입출금식 통장은 말 그대로 투자를 위한 계좌는 아니니깐요. 
  • 이자 지급 시기 : 통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게는 분기마다, 많게는 반기마다 이자를 줍니다. 복리 효과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. 
예·적금 : 100만원을 1년 입금해 두면 1,000원(세전)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 
눈물 나려 합니다. 세금 제외하면 정말 껌 하나도 살 수 없는 금액입니다. 

 

■ 파킹(parking)통장

  • 말 그대로 풀이하면 주차 통장입니다. 잠시 주차를 하듯이 돈을 잠깐 통장에 넣었다가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입출금 통장입니다. 이율은 1~2%대로 새로 생긴 금융상품은 아닙니다. 수시입출금통장인데 이율이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 
  • 이자 지급 시기 : 파킹 통장 역시 통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 달 단위로 이자를 지급하는 곳도 있고, 심지어 하루에 1번씩 이자를 지급 하는 은행도 있습니다.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복리 : 중복된다는 뜻의 한자어 복(復)과 이자를 의미하는 리(利)가 합쳐진 단어로서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다는 뜻입니다. 
  • 예·적금 통장에 비하면 이자도 많이 받을 수 있고 좋은 상품입니다. 

 

■ 파킹 통장 가입 시 주의할 점

 

  • 파킹 통장을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대부분 저축은행(제2금융권) 상품이 많습니다. 왜 그럴까요? 
  • 제1금융권(흔히 우리가 아는 큰 은행들)은 굳이 이자를 많이 주지 않아도 고객들이 몰립니다. 하지만 제2금융권은 고객을 모집하기 위해 홍보를 해야 하고 그 홍보 수단으로 파킹 통장을 출시합니다. 
  • 제2금융권에 돈을 맡길 때는 예금자 보호 금액(1인 50,000천 원)을 고려하셔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. 많은 금액을 맡길 시 저축은행이 도산하게 되면 맡긴 금액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  • 파킹 통장을 비대면 계좌로 개설 시 영업일 기준 20일 간 다른 통장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 (금융감독원이 2010년 3월부터 대포통장 근절과 전화금융사기예방을 위해 도입한 제도입니다.)

 

지금까지 제가 파킹 통장 가입하기 위해 공부 한 내용입니다. 주의하실 점을 잘 참고 하시고 하루라도 이자 더 주는 상품 가입하셔서 모두 부자 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댓글